한국 휴먼다큐멘터리의 시대성과 사회성-다큐멘터리 내용, 형식의 변화와 사회적 맥락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bibliography(참고문헌) / 2009. 3. 11. 17:10
Author = {이종수},
Journal = {언론과 사회},
Number = {2},
Pages = {35-72},
Title = {{한국 휴먼다큐멘터리의 시대성과 사회성-다큐멘터리 내용, 형식의 변화와 사회적 맥락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Volume = {10},
Year = {2002}}
<저자 요약>
이 논문은 휴먼타큐멘터리라는 특정 문화적 표현양식이 사회적, 역사적 환경변화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에 대한 탐색작업이다. 따라서 한국사회의 급격한 사회변동, 방송사의 제도적 환경 변화, 그리고 다큐멘터리의 기존 관습 등이 휴먼타큐멘터리 텍스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특히 압축적 근대화로 인한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의 사회문화적 충격이 한국 휴먼타큐멘터리에 어떤 감정구조와 정서로 표출되었는지를 살펴보는 데 논문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 공중파 TV 방송 3사에서 196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방영된 휴먼다큐멘터리의 역사적 변천을 시기별로 분류하여 그 내용과 형식을 분석하고, 그 텍스트상의 변화를 사회적 콘텍스트와 연과하여 분석,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사회의 근대화 과정은 휴먼다큐멘터리의 내용상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실향민' 의식이 휴먼다큐멘터리를 관통하는 기본정조로 나타났다. 휴먼다큐멘터리에 나타나는 '사적 세계'에 대한 강조 역시, 근대화 과정에서 야기된 사회시리적 긴장과 불안을 완화하는 일종의 감정적 완충제 역할을 해온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방송사 조직을 둘러싼 정치, 경제거 환경의 변화는 휴먼다큐멘터리의 비판성 강화와 동시에 오락성 증대라는 이중적 양상을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은 휴먼타큐멘터리라는 특정 문화적 표현양식이 사회적, 역사적 환경변화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에 대한 탐색작업이다. 따라서 한국사회의 급격한 사회변동, 방송사의 제도적 환경 변화, 그리고 다큐멘터리의 기존 관습 등이 휴먼타큐멘터리 텍스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특히 압축적 근대화로 인한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의 사회문화적 충격이 한국 휴먼타큐멘터리에 어떤 감정구조와 정서로 표출되었는지를 살펴보는 데 논문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 공중파 TV 방송 3사에서 196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방영된 휴먼다큐멘터리의 역사적 변천을 시기별로 분류하여 그 내용과 형식을 분석하고, 그 텍스트상의 변화를 사회적 콘텍스트와 연과하여 분석,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사회의 근대화 과정은 휴먼다큐멘터리의 내용상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실향민' 의식이 휴먼다큐멘터리를 관통하는 기본정조로 나타났다. 휴먼다큐멘터리에 나타나는 '사적 세계'에 대한 강조 역시, 근대화 과정에서 야기된 사회시리적 긴장과 불안을 완화하는 일종의 감정적 완충제 역할을 해온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방송사 조직을 둘러싼 정치, 경제거 환경의 변화는 휴먼다큐멘터리의 비판성 강화와 동시에 오락성 증대라는 이중적 양상을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대충 요약>
한국 휴먼타큐멘터리를 관통하고 있는 기본 정조는 '가족관계', '촌락공동체적 유대감', '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다큐멘터리의 형식적 변화에는 다큐멘터리에 대한 전통적 관습과 실험을 둘러싼 '문화적 권력'의 갈들이 작용한다.
휴먼타큐멘터리 두드러진 주제유형 :
1. 도덕적 카리스마를 대표하는 인물(1970년대)
2. 평범한 사람들의 일사의 미(1980년대 중반~90년대 중반)
3. 세속적 성공의 강조(IMF시대)
4. 인간드라마의 강조(2000년 이후)
형식과 서사분석 : 1970년대 : 해설적, 교훈적 양식에서 관찰자적, 참영관찰적 형식으로 변화
텍스트, 콘텍스트 연관성 분석은 텍스트상의 변화와 사회적 맥락, 방송사 제도적 맥락, 제작관행 및 장르관습과 연관하여 논의 하였으며, 가장 중요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압축적 근대화 프로젝트의 급격한 도사회 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 휴먼타큐멘터리를 관통하고 있는 기본 정조는 '가족관계', '촌락공동체적 유대감', '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다큐멘터리의 형식적 변화에는 다큐멘터리에 대한 전통적 관습과 실험을 둘러싼 '문화적 권력'의 갈들이 작용한다.
휴먼타큐멘터리 두드러진 주제유형 :
1. 도덕적 카리스마를 대표하는 인물(1970년대)
2. 평범한 사람들의 일사의 미(1980년대 중반~90년대 중반)
3. 세속적 성공의 강조(IMF시대)
4. 인간드라마의 강조(2000년 이후)
형식과 서사분석 : 1970년대 : 해설적, 교훈적 양식에서 관찰자적, 참영관찰적 형식으로 변화
텍스트, 콘텍스트 연관성 분석은 텍스트상의 변화와 사회적 맥락, 방송사 제도적 맥락, 제작관행 및 장르관습과 연관하여 논의 하였으며, 가장 중요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압축적 근대화 프로젝트의 급격한 도사회 에서 찾을 수 있다.
'워낭소리'와 연관지어 생각해 볼만한 논문이다.
'bibliography(참고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0) | 2011.04.15 |
---|---|
마을만들기로 새롭게 여는 성북 (0) | 2011.04.11 |
firefox 익스텐션 - 'zotero' 니 맘대로 ^^ (0) | 2011.04.05 |
風水地理思想의生態學的考察: 전통주거공간의분석을중심으로 (0) | 2009.03.13 |
`마을연구'와`마을조사'그리고`마을지'에대한학제적접근 (0) | 2009.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