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이곳은 우리 삶을 담는 곳입니다. Ce site est le pot qui mit de nos vies. This site is the pot which put our lives. cybernix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537)
끄적끄적 (262)
C'est la vie?(삶이란?) (26)
닼세상 (13)
삶사이(웹진) (2)
visual ethnography(영.. (10)
Gallery (61)
final_cut_pro (3)
langue(언어) (33)
bibliography(참고문헌) (9)
Total
Today
Yesterday
01234


@article{2007kim,
    Author = {김경옥},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역사학
    Journal = {호서사학},
    Pages = {301--313},
    Title = {`마을연구'와`마을조사'그리고`마을지'에대한학제적접근},
    Volume = {46},
    Year = {2007}}

<요약>
역사학도의 관점에서 평자의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마을지’의 구성에 관한 문제이다. 독자가 제목만 봐도 해당 마을의 정체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각 마을지의 구성에 있어서 차별성이 요구된다.
둘째, ‘마을의 생애사’에 관련된 자료수집의 문제이다. 마을사에 대한 접근은 민족지적인 관점에서 자료수집과 현장을 담아내는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마을의 생애사’는 시기별 변화의 추이를 통시적으로 엮는 서술도 중요하지만, 이를 뒷받침해 주는 고문헌과 고문서의 수집과 정리가 병행되어야 한다. 물론 연구대상 마을이 班村이 아닌 民村이라는 점에서 자료의 빈곤을 탓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반촌이든 민촌이든 사람과 사람 사이에 주고받은 문서는 시기와 장소에 관계없이 작성되기 마련이다.
셋째, ‘마을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서술문제이다. 기존의 연구 성과는 대부분 ‘마을사’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조선시기까지만 섭렵하는추세였다. 그 결과 ‘마을지’에 수록된 내용도 대개 역사와 민속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마을지는 사라져가고 있는 마을의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였다는 의미는 있지만, 현재 마을의 모습과 미래를 전망하는 과제까지는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마을의 역사와 민속은 물론 근현대기 주민들의 일상적인 생활문화를 아우르고, 오늘날 마을 주민의 경제활동과 사회생활까지 포함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러나 연구대상에 대한 현재의 모습을 그려낸다는 명분아래 지나치게 통계학적으로 접근한 점은 재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최근의 통계자료를 제시하는 것으로써 현재 마을의 모습을 대변하였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넷째, 구술사 자료에 관한 문제이다. 생애사는 해당 마을사람이 비로소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있는 대목이고, 주민들에게 ‘마을지’ 서술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그러나 구술사 자료의 수집과 정리방법, 활용도의 문제는 좀더 고민을 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구술자료는 문헌자료에 기록하기 힘든 구술자의 행동, 음성의 고저와 떨림까지도 포함한다. 또 구술자료는 시간이 흐르면서 구술자의 사망으로 인해 자료의
주체가 소멸되는 한계도 있다. 따라서 구술자료의 수집도 중요하지만, 공유와 전승의 방법도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 즉 수집된 구술자료를 영상물로 가공하는 후속작업이 병행된다면, 문화자원으로써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옛 문서와 옛 사진첩도 마찬가지이다.
다섯째, ‘마을지’의 대중화를 위한 문제이다. 독자가 문장을 읽은 연후에 인지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집필자의 의도를 보다 입체적으로 전달하는 배려가 보다 다양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짧은 생각>
'마을지' 작성에 대해 사례를 들어가며 잘 정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논의는 '민속학'적 연구방법에서 이미 논의가 충분히 진행된 사항임에도 언급이 많이 되지 않아 아쉽고, 역사학 연구자의 의견이 피상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마을 연구에 대한 다양한 논의는 "마을민속아카이브어떻게할것인가/ 안동대학교한국학연구원민속학연구소엮음"-2008- 이나 "마을민속조사연구방법/ 임재해"-2007- "마을민속보고어떻게할것인가/ 안동대학교민속학연구소" "마을민속자원화어떻게할것인가/ 안동대학교한국학연구원부설민속학연구소지음"-2007- 등의 책을 참고.







Posted by cybernix
, |